와인의 향을 충분히 즐기셨다면 이제는 맛을 볼 차례입니다. 약간의 와인을 입에 머금고 입안 구석구석에서 맛본다는 기분으로 와인을 잘 굴려줍니다. 어떤 분들은 이때 입을 오므리고 후룩 후룩 공기를 들이마시거나 고개를 허리까지 숙이는 등 다양한 행동을 하는데 이는 와인의 맛을 최대한으로 느끼려는 방법들입니다. 와인의 맛을 고루 느끼셨다면 와인을 뱉어내고 이제 입에 남은 감각들과 맛을 정리해 봅니다.                                                                                                                 
먼저 와인의 맛이 신선한가를 살핀 다음 와인에서 단맛이 나는지, 그 정도는 어떤지를 살펴봅니다. 와인에서 단맛이 난다면 이는 와인에 남아 있는 잔당(residual sugar) 때문인데 이런 와인을 보통 스위트(sweet)하다고 하고 단맛이 적을수록 드라이(dry)하다고 표현합니다. 와인에서 나는 신맛은 와인에 산뜻함을 주고 또 와인의 짜임새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쏘떼른의 샤또 디켐(Chateau d’Yquam) 같은 스위트 와인에 적당한 신맛이 없다면 이 달콤한 와인을 마시는 일이 더는 즐겁지 않을 것입니다.


다음은 와인을 마신 후 입 안에 남은 감촉을 느껴봅니다. 혀의 뒷부분과 목에
사용자 삽입 이미지
후끈한 느낌이 드는지, 입안에 부드럽고 고운 맛이 남는지 아니면 거칠고 마른 느낌인지 잘 살펴봅니다. 이를 통해서 알코올 도수의 높고 낮음, 타닌의 종류와 정도 그리고 품질을 알 수 있습니다. 또 와인을 입안에 담았을 때 와인의 무게가 어떠했는가를 생각해 봅니다. (묵직한 느낌이 들었는지 혹은 가벼운 느낌이었는지) 와인의 무게감을 와인의 바디(body)라고 표현하는데 맛의 진한 정도, 알코올과 타닌의 많고 적음 등 여러 가지 요소의 영향을 받습니다. 쉽게는 물과 우유를 상상하시면 됩니다. 우유는 물과 비교하면 훨씬 바디가 큰(full body) 음료입니다.

이제는 와인에 담겨 있는 맛을 분석해 봅니다. 어떤 종류의 맛이 나는지, 와인의 향을 맡았을 때 느껴졌던 것들이 맛으로도 느껴지는지 살펴봅니다. 사실 우리가 와인의 맛을 본다고 하는 것은 입과 코를 연결하는 통로를 통해 입에 담겨 있는 와인을 거꾸로 냄새 맡는다고 해도 별로 틀린 말이 아닐 것입니다. 또한, 이때 와인의 풍미가 얼마나 강한지 느껴 봅니다.

마지막으로 와인에서 느꼈던 맛, 감촉 등을 다시 한번 생각하며 와인의 품질을 평가해 봅니다. 와인이 얼마나 균형잡힌 맛이 났는가 또 그 짜임새는 어떠했는가. 와인의 맛이 단순했는가 아니면 복잡하고 다양한 맛이 났는가. 그 맛이 얼마나 오랫동안 입에 남는가를 살펴봅니다. 보통 품질이 뛰어난 와인은 전체적인 와인의 맛이 좋은 짜임새를 가지며 과일의 맛과 다른 복합적인 맛들이 어우러져 오랫동안 이어지는 와인이라 하겠습니다.

와인의 균형(balance)과 짜임새에 관하여서는 다음 기회에 따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2008. 7. 27. 10:39 Trackback  Comment